세션
[8-B] [전체회의 Ⅵ] 한반도 통일과 새로운 기회
날짜
- 5.29(일)
시간
- 10:00 ~ 11:10
기관
장소
- 그랜드 볼룸
한반도가 분단된 지 60여 년이 흘렀으나 아직도 남북한간 교류는 거의 단절된 상태입니다. 남북한은 제각기 통일에 대해 말은 아끼지 않고 있으나 가까운 시일내 한반도가 통일된다는 전망은 서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북한의 핵개발과 3대 세습체제 추진으로 한반도에는 변화의 새로운 변수가 등장하였습니다. 북한의 어려운 경제난과 더불어 북한 붕괴 가능성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한반도의 통일 기회가 주어질 경우 주변국들의 반응을 점검해 봅니다. 한반도 통일이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인지 아니면 정치ㆍ경제적으로 강력한 통일국가의 출현에 대해 주변국들이 긴장할 것인지 등 한반도 통일이 가져올 동아시아 국제정세 변화도 논의합니다.
- 현재 한반도 통일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 주변국들은 한반도 통일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인가?
- 만약 한반도가 통일된다면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 한반도 통일은 주변국들에게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
- 사회
곽승준(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 주제발표
이근(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발표
마크 민턴(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
발터 클리츠(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소장)
수창허(상해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대학 학장)
에브게니 아파나시에프(러시아 외교부 인사국장)
오코노기 마사오(게이오대학교 명예교수)
- 현재 한반도 통일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 주변국들은 한반도 통일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인가?
- 만약 한반도가 통일된다면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 한반도 통일은 주변국들에게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
- 사회
곽승준(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 주제발표
이근(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발표
마크 민턴(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
발터 클리츠(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소장)
수창허(상해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대학 학장)
에브게니 아파나시에프(러시아 외교부 인사국장)
오코노기 마사오(게이오대학교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