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

[12-B] 국제보호구역과 제주형 보전모델

날짜
5.29(일)
시간
17:00 ~ 18:10
기관
장소
크리스탈 홀 B
새로운 미래,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제주, 유엔이 인정한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3개의 람사르사이트, 세계지질공원, 제주가 세계의 환경보물섬이 된 그 이유가 있습니다. 세계에는 다양한 국제보호지역이 존재합니다. 또한, 그 지역의 독특한 보전방식이 존재합니다. 역사가 변하고 환경이 변하듯이 국제보호지역의 보전모델 또한,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모델이 필요하지 않을 까요? 그것을 제주에서 찾을 가능성은 없을지에 대해 전문가들이 토론을 합니다
- 제주의 국제보호지역 보전모델은 어떠한가?
- 진정 세계에서 보편적인 모델로 제시가 가능한가?

- 사회
최청일(유네스코 MBA국제조정이사회 의장)

- 발표
이병욱(세종대학교 교수/전 환경부차관)
이상돈(이화여자대학교 교수/한국습지학회 회장)
조도순(카톨릭대학교 교수)
윤용택(제주대학교 교수)